선분, 직선, 반직선의 의미와 읽는 방법 (개념+수학문제)
[참고] 도형학습지는 계산학습지와 다르게 라이트 학습지만 제공됩니다. | 2단원 평면도형 평면도형 단원은 도형에 대한 기초를 다지는 단원입니다. 삼각형, 사각형 등 추상화된 도형을 바로 다루기보다는 도형을 구성하는 요소 (선분, 각 등)를 배우는 데 중점을 둡니다. 2단원에서는 선분, 직선, 반직선을 배우고, 직각을 비롯한 각을 학습하며, 직각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선분, 직선, 반직선 선분과 직선, 반직선은 두 점을 잇는 곧은 선입니다. 곧은 선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지만, 그 모습이 조금씩 다릅니다. 그림을 보면서 선분, 직선, 반직선 사이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읽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1) 선분 선분은 두 점을 곧게 이은 선입니다. 한 점에서 출발하여 다른..
2020. 8. 18.
[수학I] 18. 등차수열의 뜻, 공차, 일반항 (개념+수학문제)
| 같이 보면 좋은 글 📄 [수학I] 수열의 의미 | 등차수열의 의미 등차수열이란, 첫째항부터 같은 수씩 더해지는 수열을 말합니다. 1,3,5,7,9... 의 첫째항은 1입니다. 제2항은 첫째항에 2를 더한 값이고,제3항은 제2항에 2를 더한 값입니다. 정리하자면, 1,3,5,7,9...는 첫째항을 1로 가지고 2씩 더해지는 등차수열입니다. 등차수열의 다른 예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 3,6,9,12,15... 첫째항이 3, 3씩 더해짐 예) 10, 15, 20, 25, 30... 첫째항이 10, 5씩 더해짐 예) 300, 310, 320, 330, 340... 첫째항이 300, 10씩 더해짐 | 공차의 의미 공차란, 등차수열에서 이웃한 두 항의 변화량입니다. 제 n항에 공차를 더하면 제 (n+1)항을..
2020. 8. 13.
[수학I] 17. 수열의 의미, 일반항의 뜻 (개념+수학문제)
* 수학 I 라이트 학습지 포스팅은 17번부터 수열을, 수열 진도가 마무리되면 삼각함수로 돌아가는 순서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 수열이란? 1. 수열의 의미 수열은 수를 나열한 것을 의미합니다. 수열은 과 같이 나타내며, a는 수열의 이름, n은 항의 번호를 의미합니다. 항이란 수열에서 나열한 하나하나의 수를 뜻합니다. 예를 들어, 2,4,6,8,10...이 있을 때 제1항은 2, 제 3항은 6이 됩니다. 이것은 로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a_n은 수열 a의 n번째 항을 뜻합니다. 마치 함수 f(x)와 비슷합니다. 함수 f(x)의 f는 함수의 이름, x는 변수 x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2. 일반항 일반항이란, 수열에서 n번째 항을 의미합니다.n은 자연수로 수열의 모든 항을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2020. 8. 12.
[수학I] 16. 삼각함수(sin,cos,tan)의 그래프, 사인 코사인 탄젠트 개형(개념+수학문제)
| 같이 보면 좋은 글 📄 [수학I] 삼각함수의 뜻, 삼각비 📄 [수학I] 삼각함수 사이의 관계 | y= sinx의 그래프 (사인함수) [정리] 사인함수 (y=sinx)의 특징 1. 정의역과 치역 - 정의역 : 실수 전체의 집합 - 치역 : { y | -1 ≤ y ≤ 1 } 2. 주기가 2π sin(x) = sin(2nπ+x) (단 n은 정수) 3. 원점에 대하여 대칭 sin(x) = -sin(-x) 먼저 사인함수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인 함수로, 실수 전체에 대하여 2π마다 함숫값을 같이 합니다. 원점 (0,0), (π/2, 1), (π,0), (3π/2,-1)을지납니다. | y= cosx의 그래프 (코사인함수) [정리] 코사인함수 (y=cosx)의 특징 1. 정의역과 치역 - 정의역 : 실수 전체의 집..
2020. 8. 11.